본문 바로가기

생생정보통92

앞으로가 중요하다, 2023 스태그플레이션일까 리세션일까 매일 경제 관련 서적, 증권가 리포트를 읽으면서 현재 미국, 한국의 경제를 생각해보고 있습니다. 그러던 중 2023을 1개월 앞둔 시점에서 내년의 경기를 상상해봤습니다 (틀리면 니가 맞음~) 1) 용어 정리 이번 글의 타이틀에 적은 스태그플레이션과 리세션의 용어부터 정리하고 시작하겠습니다. * 스태그플레이션: 경기 불황 + 고물가 상황 * 리세션: 경기 하강 초기 국면 2) 어느 국면으로 갈까? 미 연준의 안일했지만 강한 대응으로 현재 기준금리는 4.00%입니다. 짧은 시간동안 정말 많이 올렸는데요. 아무래도 물가의 파수꾼인 연준의 영향으로 리세션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 미국 주택시장은 이미 침체 어제 저는 경기도에 있는 물건때문에 부동산을 찾았습니다. 사장님께 요즘 거래는 어떤지, 매물 찾는 .. 2022. 12. 3.
2022 11월 경제 지표 정리 전반적으로 부진했다 1) 고용 위축의 바람 혹시 ISM이라고 들어보셨을까요? ISM, The Institute of Supply Management, 미국 공급관리자협회입니다. 이 협회에서는 매달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PMI)라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ISM제조업 지수라는 것을 발표합니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경제 전망이 어떨지 미리 살펴볼 수 있습니다. 물론 미래를 100% 보여준다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실제와 예측이라는 데이터가 있는데요, '실제' 값이 '예측'값보다 큰 경우(실제>예측) 미달러화 가치 및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뜻이며 반대로 '실제'값이 '예측'값보다 작은 경우(실제 2022. 12. 3.
미국 PTP 투자하셨다면 빨리 정리하셔야 될듯 1) PTP? Publicly Traded Partnership의 약자로 미국 영토 내에서 공개적으로 거래되는 파트너쉽을 의미합니다. 보통 천연자원, 미국 부동산 거래를 위한 금융상품이 이에 포함됩니다. ETF같은 단순 금융상품이 아닌 기업으로 인정되는 경우는 원천징수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따라서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종목이 PTP에 해당하는지 증권사 공지를 반드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아래 공지는 KB증권의 미국 PTP 종목 과세 관련 공지입니다. 2) 세금 부과 비율 그래서 세금 비율이 어느정도 되느냐, PTP 종목이 포함된 ETF 등의 상품 대상으로 미국에 투자한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손실, 이익 상관 없이 매도 금액의 10% 세금을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예를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투자금 1.. 2022. 12. 3.
2022 12월 연말 코스피 시장 산타랠리 가능할까 * 산타랠리? 크리스마스를 전후로 연말 ~ 신년 초 주가 강세 현상 1) 우려했던 11월 지나고 보니 비교적 선방했다. 금리 인상이 많았던 11월은 정말 힘들었죠. 그런데 12월이 된 시점에서 뒤돌아보니 생각보다 코스피는 비교적 잘? 버텨줬다고 보입니다. 9월부터 시작한 베어마켓은 조정의 기간을 겪고 잠시 숨고르기에 돌입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2) 그러나 12월엔 산타없는 연말이 될지도 올해 코스피 산타랠리는 힘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 이유로는 금리, 중국 봉쇄, 러-우 이슈, 대외 지정학적 리스크, 국내 정책 리스크 등이 있겠네요. 이 중에서도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금리' 가 아닐까 싶습니다. 금리와 투자자의 심리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니까요. 올해 FOMC는 1차례 더 남았습니다(파월형 그.. 2022. 1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