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생정보통92

결국 침체는 온다 지난 글에서 지금 경제 상황이 스태그플레이션인지 리세션인지 글을 몇 자 적었습니다. 그런데 증권가 리포트를 보면 상당수 애널리스들은 침체가 시작되었다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경제 반등의 요인이 잘 보이지 않는 현실이기도 하구요. 1) 경기 하강 시작되었다. 경제 성장률이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경기선행지수의 계속되는 하강으로 경기 하강 국면 진입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게다가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역시 맥을 못추고 있습니다. 즉 반등하고있지 못한 상황입니다. 이 두 경제 지표를 통해 현재 한국의 경제는 침체가 시작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2) 경기 리스크 요인 반복해서 이야기 하는 내용이라 눈이 따갑게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경기 리스크 요인으로는요 세계 .. 2022. 12. 6.
침체된 부동산 시장, 늘어나는 부동산 영탈족. 내년엔 정책으로 살릴 수 있을까 전국적으로 부동산 거래가 얼어있는 2022의 12월입니다. 저도 요새 세입자 찾는데에 신경을 많이 쓰고 있는데요. 월세 수요는 늘어나고있는데 전세 거래는 없다는 소장님들의 공통된 의견이 있었습니다. 1) 대한민국 부동산의 위기 히스토리 코로나발 자산 특히 부동산 버블은 어마어마했습니다. 요즘엔 영탈족이라는 말이 나오더라구요. 대출받았다가 영혼까지 탈탈 털렸다는 뜻으로 사용하고있는듯합니다. 정확한 뜻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한국의 통화 정책은 과거로부터 부동산과 동고동락을 해왔습니다. 2005 ~ 2007년에는 인플레와 부동산 버블 통제를 위해 금리인상을 단행했습니다. 그리고 약 10년 뒤인 2014 ~ 2015년에는 부동산 침체를 부양하기 위해 금리를 내렸습니다. 2023과 비슷해보이는 과거는 20.. 2022. 12. 5.
고배당주,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 저는 배당주를 참 좋아합니다. 특히 배당왕, 배당귀족이라 불리는 종목들을요. 이런 투자를 인컴투자라 합니다. 간단히 용어 정리 한번 하겠습니다. * 인컴(income) 투자: 일반 주식보다 낮은 리스크, 예금보다 높은 성과를 추구하는 수익 투자 중에서, 꾸준한 현금소득(이자, 배당)을 동반하는 투자를 지칭합니다. 대체투자, 크레딧, 고배당주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1) 어려운 시장에서도 살아남고있는 고배당주 제가 발행한 글들만 보셔도 경기 침체, 스태그플레이션, 하락 등 부정적인 용어를 자주 접하셨으리라 생각됩니다. 네, 그만큼 정말 안전한 투자처는 안고이고, 투자 환경(펀더멘털, 비 펀더멘털)은 점점더 극악해지고 있죠. 그런 상황에서도 불구하고 최근 고배당주 관련 리포트를 보면 시장수익률을.. 2022. 12. 4.
경기침체의 신호 장단기 금리차, 이번에도 유효할까? 투자를 하면서 배운것 중 하나가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되면 예외 없이 경기침체가 찾아왔다는 과거의 데이터입니다. 2023 내년 경제에 대한 투자자들의 인식은 대체로 '침체' 쪽에 치우친 것 같은데요. 그런데 이번에도 과거의 지표를 믿어도 될지에 대한 의구심이 생깁니다. 왜? 이번 경기 침체는 과거에 발생한 침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요인이 있었기 때문이죠. 네, 다들 아시는 요인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코로나, 저금리에서 급격한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등이 있었으니까요. 1) 장단기 금리차, 이미 역전된지 오래다! 미국 장단기 금리채 = 장기 금리(10년물 국채 수익률) - 단기금리(2년물 국채 수익률) 작년부터 장단기 금리채의 차이가 서서히 줄어들더니 작년 말에는 잠깐 역전 후, 다시 반등 했다가 맥.. 2022. 12. 4.
반응형